유용한 건강정보

면역력을 높이자.

퀀박사 2024. 5. 7. 19:45
반응형

2024년이 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5월입니다.

'봄'님은 왔는지도 모르게 가셨고 벌써 무더워지네요.

 

어떤 날은 반팔을 입어야 할 정도로 더웠다가

요 며칠은 또 비가 오면서 추워졌죠.

더웠다가 추웠다가. 말 그대로 환절기입니다.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가 되면 몸이 따라가지 못해 병이 생기곤 하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면! 역! 력!

 

오늘은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면역력이 높으면 무엇이 좋은지부터 알아보죠

 

질병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질병을 유발하는 건 보통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입니다.

이런 것들이 몸에 들어와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거죠.

 

그래서 우리 몸에는 백혈구라는 경호원들이 있습니다.

면역력이 강해지면 이 경호원들이 강해집니다.

나쁜 것들이 들어와도 전부 처치하니 병에 잘 안 걸리겠죠?

 

회복이 빨라집니다.

 

병에 안 걸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회복도 중요하죠.

면역력이 높으면 부상이나 질병의 회복이 빨라집니다.

 

알레르기가 줄어듭니다.

알레르기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특정 단백질에 과민 반응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게 보면 면역력이 높아지면 알레르기가 더 심해질 것 같은데요.

하지만 면역력이 높아지면 알레르기도 줄어든다고 합니다.

 

피부가 좋아집니다.

 

면역력이 높아지면 염증수치가 낮아집니다.

그리고 염증수치가 낮아지면 피부 트러블이 적어지죠.

면역력이야말로 만능입니다.

 

스트레스 저항력이 높아집니다.

 

몸과 마음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죠.

몸의 면역력이 높아지면 마음의 면역력도 높아집니다.

 

 

이렇게 보면 건강하게 사는 방법은 고민할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네. 면역력을 높이면 건강하게 살 수 있게 되는거죠.

 

그렇다면 이제는 어떻게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주의!

면역력은 어느 날 갑자기 높아지지 않습니다.

매일의 생활이 바뀌어야 하고 습관도 달라져야 합니다.

다른 것들도 다 마찬가지겠지만 면역력은 생활습관!

잊지 마세요!

 

 

주의!

아래 설명하는 것들 모두 익숙하실 겁니다.

그래서 저는 바로 할 수 있는 쉬운 것부터 순서대로 넣었어요.

이 점 참고해서 봐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규칙적인 수면

 

면역력을 높이려면 많은 것이 달라져야 합니다.

그 중 가장 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이 바로 수면이죠.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선 두 가지가 관건입니다.

 

충분히 잘 것

같은 시간에 자서 같은 시간에 일어날 것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수면시간이 얼마인지 아세요?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에 따르면

대한민국 성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6.9시간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뜨악하신 분들 많으실 거예요.

 

'나는 5시간 밖에 못 자는데 평균이 6.9시간이라고?'

 

네. 맞습니다. 평균은 그래요.

그럼 평균에 못 미치는 분은 원인이 뭘까요?

이와 관련해선 앞선 제 포스팅을 봐주세요. ㅎㅎ

 

불면증을 극복하자. (tistory.com)

 

불면증을 극복하자.

안녕하세요. 저는 사실 상당히 오래전부터 불면증을 앓아 왔는데요. 자리에 누우면 오만가지 생각이 머리에 떠올라 잠이 오질 않습니다. 간신히 잠 들어도 도중에 깨기 십상이고요. 그래서 약도

lifeandhealthofkwon.tistory.com

 

성인에게 권장되는 수면시간은 6~9시간입니다.

(개인차는 있습니다.)

 

그러니 최소한 6시간은 주무세요.

그리고 항상 같은 시간에 주무세요.

스마트폰 하지 마시고요.

그것만 하셔도 몸이 한결 가벼워지실 겁니다.

 

2. 건강한 식습관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약과 음식은 근본이 같다라는 뜻이죠.

그만큼 먹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매일 육식 위주로 식사합니다.

가끔 먹는 채소는 햄버거에 들어간 양상추 정도?

 

바쁜 현대인이 삼시세끼 탄단지 챙겨서 먹기는 힘들 겁니다.

하지만 최소한 매 끼니에 채소 하나는 꼭 넣으세요.

그것만 하셔도 훨씬 낫습니다.

 

음식을 챙기기 어렵다면 보충제라도 드세요.

드실 땐 요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 ㅎㅎ

 

비타민 보충제를 먹어야 할까? (tistory.com)

 

비타민 보충제를 먹어야 할까?

안녕하세요. 여러분께 좀 더 유익한 정보를 전달해드리기 위해 오늘도 노력하는 퀀박사입니다. 20대가 지나고 30대가 되면서부터는 종일 피곤하고 잠을 자도 잔 것 같지가 않고, 피부도 푸석하고

lifeandhealthofkwon.tistory.com

 

3. 꾸준히 운동하세요.

 

20대는 좋은 몸을 갖기 위해 운동한다면서요?

하지만 저 같은 40대는 살기 위해 운동합니다.

저는 매일 시간이 날 때, 아무때나 꼭 30분 이상 뜁니다.

그보다 더 오래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다들 바쁘시잖아요?

 

다만 30분이라도 짬을 내서 운동하세요.

밥 먹고 슬슬 걷는 게 혈당 관리엔 좋겠지만 그거 운동 아닙니다.

최소한 숨이 가빠질 정도는 되어야 운동이죠.

 

그리고 요즘 스마트워치 차고 계신분들 많죠?

그래서 심박수 기준으로 말씀드려볼게요.

 

최대심박수 = 220 - 자기 나이

 

최대심박수를 확인하신 후에는 아래 기준에 도달할 정도로 운동하세요.

 

초보자 : 최대심박수의 50~70%

중급자 : 최대심박수의 70~80%

상급자 : 최대심박수의 80~90%

 

이 정도는 도달해야 진짜 운동입니다.

저는 40대니까 최대심박수는 180정도네요.

적당히 중급자라고 치면 126~144정도는 나와야 되는 겁니다.

 

지금까지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습니다.

하나같이 '늘 듣던 이야기', '당장 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어요.

하지만 중요한 건 '처음!'입니다.

 

어떤 것이든 시작하면 또 굴러가잖아요?

지금은 일단 자는 것부터 조절해보세요.

그리고 하나하나 해 나가는 겁니다.

일이 생겨서 며칠 실패해도 괜찮아요.

 

중요한 것은 실패한 뒤에도 다시 시작하는 겁니다.

그러다보면 어느새 습관이 되어 있을 겁니다.

반응형

'유용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햇볕을 쬐는 건 좋은 걸까요? 나쁜 걸까요?  (0) 2024.05.12
의자병  (0) 2024.05.10
백일해  (0) 2024.05.03
불면증을 극복하자.  (2) 2024.04.22
당뇨병  (1) 2024.04.19